통관 주의사항
국가별 통관 주의사항
서비스 안내 > 국가별 통관정보 탭에서 국가별 통관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미국 United States
※ 미국 수입통관 규정 (미국 수입 통관 정책이 수시로 변경되고 있어 주의 필요)
•
소액면세제도 폐지로 모든 화물에 대해 관세 부과됨(인보이스/주문금액 무관)
•
의류(언더웨어) : 별도 영문라벨 필요 X
(
단, 중국산의 경우 C/O(원산지증명서) 필요할 수 있음)
•
화장품 : FDA Compliance를 따른 영문라벨 필수
- FDA시설등록증 No. / MOCRA No.(대상시) / MSDS
•
식품(육류포함, 건기식 포함), 선크림, 의약품 등 FDA시설등록증 사전 송부 필수
- 일부 품목 OTC 및 NDC No. 필수
•
마약류 및 불법 약물
•
무기류 및 폭발물
•
멸종위기 동식물 관련 제품
•
위조품 및 모조품
일본 Japan
•
B2C 상품 대상 인보이스 금액 16,666엔 이하 관세/소비세 면세
•
의류(언더웨어) : 니트, 가죽이 포함된 의류는 인보이스 금액 무관 관세 부과될 수 있음
- 소재, 혼용율 샘플 정보에 따라, Woven 원단에 16,666엔 이하로 주문금액 설정시, 면세
•
화장품 : 별도 규제 없음, 16,666엔 이하 면세
•
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
•
총포류 및 도검류
•
가짜 상품 및 위조품
•
멸종위기 동식물 관련 제품
대만 Taiwan
•
인보이스 금액 2,000 TWD 이하시 면세 (개인 소비 목적시)
•
의류(언더웨어) : 별도 수입시 규제 없음
•
화장품 : 기능성, 자외선 차단 화장품은 인보이스금액(주문금액) 상관없이 별도 허가 필요
싱가폴 Singapore
•
인보이스금액(주문금액) 400 SGD 이하시 면세
•
의류(언더웨어), 화장품 : 별도 규제 없으나, 기능성화장품(선크림 등)의 경우 별도 허가 필요
홍콩 Hongkong
•
홍콩은 Free Trade Country로 별도 수입시 규정 및 관세 없음
배터리 및 EQ 화물 수출 주의사항
배터리 및 EQ 화물 발송 시 주의할 점 참고해주세요
현재 리튬 배터리는 비위험물로 취급되는 경우 하에서만 발송이 가능합니다.
•
ELI(리튬이온) : 20Wh 이하의 Cell 및 100Wh 이하의 배터리
•
ELM(리튬메탈) : 1g 이하의 셀 및 2g 이하의 배터리
•
1개 포장박스에 배터리 순수 총 중량(제품 중량 X)이 5kg 미만인 경우, ELI/ELM 적용 가능
•
기기에 장착된 4개 이하의 셀 또는 2개 이하의 배터리가 들어 있는 패키지 2개 이하로 구성된 발송물
•
포장 시 제품 6면 완충 포장 및 단단한 재질의 박스 사용 필요
•
박스 측면에 부착해야 되며, 부착 시 접히거나 찢어진 경우, 항공사에서 반입 거절할 수 있음
•
다른 건들과 대박스에 합포장된 경우, 대박스에 OVERPACK 및 리튬 배터리 라벨 부착 필요
→ 리튬 배터리 라벨만 (라벨에 UN번호 및 실제 수출업체 연락처 기재 필요)
(
흑백 라벨 사용 불가, 반드시 칼라 인쇄 필요 )
Packing GroupⅡEQ 포장 가이드라인을 참고해주세요.
Packing Group II는 중간 위험성의 인화성 액체를 의미하며, 포장 시 UN 기준에 따라
특정한 요구 사항을 충족해야 합니다.
•
여객기(Passenger Aircraft): 5L (단, 특정 조건에서 제한될 수 있음)
•
화물기(Cargo Aircraft Only): 60L
Excepted Quantity는 소량 포장 시 완화된 규정을 적용받는 경우입니다.
UN 1993 Class 3, Packing Group II의 EQ 코드: E2
•
내부 용기(Inner Packaging): 최대 30mL
•
외부 용기(Outer Packaging): 최대 500mL
•
내부 용기는 누출 방지 설계 필요
•
외부 포장은 충격 보호 기능 필요
•
"EXCEPTED QUANTITY" 라벨 부착 필수
위 내용은 일반적인 규정이며, 특정 국가 및 운송 방식에 따라 세부 요건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
필요한 경우 최신 IATA DGR 참고 부탁 드립니다. 